top of page

김양미,유진아2인Kim Yang-mi and Yoo Jin-ah Exhibition for Two_ Duality 이원성 2025. 11. 13. Thu ~ 2025. 11. 25. Tue

  • soo333so4
  • 11월 12일
  • 3분 분량
ree



김양미



1996 홍익대학교 미술대학교 도예과 학사

2022 홍익대학교 미술대학원 회화과 석사

2024 Alfred University ceramic workshop프로그램 수료


개인전

2025 잠들지 않는 방 (갤러리 단정 초대전, 서울)

2025 My own forest (하랑갤러리, 서울)

2024 깨어난 꿈 ,깊은 여정 (아트플러스, 입주작가 활동 보고, 광교)

2024 A few days later 세번째이야기 (공구싸롱, 서울)


단체전

2025 썸머 보타니컬가든 (로프트그라운드, 서울) 아트페어

2025 어반브레이크 아트페어 (코엑스, 서울)



<작가노트>


나의 작업은 일상적인 공간 안에 상상의 장면을 끌어들임으로써, 현실과 상상이 공존하는 경계를 탐색한다. 그 공간은 물리적인 장소라기보다, 감정의 기억이 겹겹이 쌓인 내면의 방이며, 동시에 ‘헤테로토피아(heterotopia)’적 공간으로 기능한다. 현실의 피로와 단절된 상상의 도피처가 아닌, 정서적 균형을 회복하는 회복의 장소로서의 상상, 나는 그 상상을 다시 바라보고자 한다. 나는 상상이 어떤 결핍을 보상하는 수단이 아니라, 지금 이 자리를 보다 풍부하게 감각하고 회복하는 방식일 수 있다는 믿음을 가지고 작업 하고 있다.나의 그림 속 방은 모두 닫힌 공간 같지만, 실제로는 많은 출구를 가지고 있다. 열린 창, 열린 옷장 문, 벽지 속 숲과 이어진 듯 한 배경들, 기이하게 변형된 소품들 속에는 현실 너머를 향한 시선이 담겨 있다. 예컨대 찻잔이 공중에 떠오르고, 흔들리는 커튼 너머보이는 동식물들, 사소한 테이블 위 지도는 머나먼 항해를 꿈꾸게 한다. 이 모든 오브제는 현실 세계의 사물 같지만 동시에 감정과 환상의 상징으로 기능한다.색체는 이야기의 또 다른 주체다. 나는 보색의 대비를 즐겨 사용한다. 안정감을 주는 그린과 강렬한 레드, 따듯한 오렌지와 차가운 블루의 충돌은 감정의 이중성과 긴장감을 드러낸다. 하지만 그 충돌은 결국 하나의 화면 안에서 조화를 이룬다. 이것은 내가 다루고 싶은 감정의 층위, 즉 설렘과 불안, 낯섦과 익숙함, 현실과 꿈의 양가성(ambivalence)을 시각적으로 구현하는 방식이며 서로 다른 감정과 대조적 색채가 조화롭게 한 화면에 보여 지길 바라는 의도이다.






김양미_어디든 갈 수있어_Acrylic on canvas_ 60.4×72.5cm_2025
김양미_어디든 갈 수있어_Acrylic on canvas_ 60.4×72.5cm_2025



김양미_ My own forest _Acrylic on canvas _72.7x92xcm _2025
김양미_ My own forest _Acrylic on canvas _72.7x92xcm _2025



김양미_ My own forest _Acrylic on canvas_ 91x116.8xcm_ 2025
김양미_ My own forest _Acrylic on canvas_ 91x116.8xcm_ 2025





유진아


홍익대학교 일반대학원 미술학 박사

홍익대학교 미술대학원 미술학 석사

홍익대학교 미술대학 도예과 학사


개인전

2025 중력을 넘어 피안으로 [키미아트 갤러리, 서울]

2024 스키엔티아 [포네티브스페이스 갤러리, 파주]

2024 Floating Earth [CICA 미술관, 김포]

2023 침묵의 질량 [금호미술관, 서울]

2023 시간의 축도 [유예재-서진아트스페이스 별관, 서울]

2022 Overlay [학고재아트스페이스, 서울]

2020 Mother Earth [갤러리 도스, 서울] 외 다수


단체전

2025 Layers of Now_지금 이 순간의 예술적 층위들 [스페이스458, 서울]

2025 균열하는 형체 [ 갤러리 디아르떼 청담, 서울]

2024 당신이 아는 그것 ;423전 [스페이스 다온, 서울]

2023 Connetion ;sorisomoon3rd [스페이스 다온, 서울]

2022 명작(MYOUNG:JAK) [Collast600, 서울]

2022 소리소문전 [스페이스 다온, 서울]

2022 공예, 낯설게 하기 [롯데백화점 잠실점 에비뉴엘 ART HALL, 서울]

2022 감각의 언어_키미포유 선정 기획전 [키미아트 갤러리, 서울]

그 외 단체전 및 아트페어 70여회




<작가노트>


돌인 듯 알인 듯 모호한 형태는 대지(Mother Earth)의 상징적인 형상으로 물리학적인 성질과 심리학적 성질을 동시에 표현하고 있다. 전체의 형태 안에서 불규칙적으로 생겨난 거친 균열과 주름은 또 다른 혼성적 공간이다. 무엇을 틔워낼지 알수 없는 무한한 생명력을 잉태한 대지의 상상적 형상이면서, 거칠고 험난한 마른 땅, 고단한 개척의 대상 또는 물살과 바람에 휘둘리고 부딪혀 깎여버린 몸이면서, 한편으로는 씨앗을 뿌린 젖은 땅, 지금은 그 속에서 무엇을 틔워낼지 알 수 없는 무한한 생명력을 잉태한 잠재된 가능성의 공간이다. 그것은 스스로 생명을 가진 유기적 자생체로서 존재하고, 단단하고 굳은 의지로 거듭된 실패 속에서도 새로운 물질로의 재생과 변화를 꿈꾸는 연금술적 존재이다...인간 존재의 시간은 유한적이며 순환하는 자연의 시간은 영속적이다. 순환을 통해 자연은 스스로 자신을 돌볼 줄 아는 내성(內城)을 가졌다. 이런 자가조절(self-control)적 생명력을 지닌 대지를 표현함에 있어서 대지의 물질성과 그 속성으로부터 상상되고 지각되는 의미는 은유적인 가상의 상(像)으로 구현되고 또 다른 의미를 증식한다. 자연 스스로 자신의 보존 목적을 위해서 변하려는 과정은 인간이 스스로를 가다듬고 내적 균형을 발전시키려는 심리학적 자기 성찰과 맥을 같이한다. 이것은 연금술의 상징성을 의미하기도 한다.







유진아_Terra-memory island20.10  mixmedia  100×60cm 2025
유진아_Terra-memory island20.10 mixmedia 100×60cm 2025





유진아_Terra-connect24.1 mixed media on canvas 31.8x31.8cm  2024
유진아_Terra-connect24.1 mixed media on canvas 31.8x31.8cm 2024





유진아_Terra-inside24.5  mixed media on canvas  45.5 x37.9cm   2024
유진아_Terra-inside24.5 mixed media on canvas 45.5 x37.9cm 2024

 
 
 

댓글


© 2016 Wix.com 을 통해 제작된 본 홈페이지에 대한 모든 권리는 아트스페이스 퀄리아에 귀속됩니다.

서울시 종로구 평창11길 41(평창동 365-3) 아트스페이스 퀄리아 Tel. 02-379-4648

  • 더보기 청소
  • Facebook Clean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