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김호준 초대전




전체로서의 풍경 - 김호준의 근작에 대해

드로잉적이다라고 한다면 어쩐지 작품자체가 현재 진행형이란 의미를 떠올리게 한다. 완결되지 않은 상태란 그 자체가 생동하는 느낌에 차있다. 70년대 이후 현대미술에서 특히 작업상의 프로세스를 대단히 중요시한 풍조가 한동안 만연되었다. 완결한다, 완성한다는 것보다 미완이다, 아직 진행에 있다는 말이 훨씬 유연성을 갖고있을 뿐아니라 풍부한 여운을 남기고 있다.

김호준의 작품에서 받는 인상도 아직 완결되지않은 진행중에 있다는 점이다. 그의 작품이 다분히 드로잉적인 속성을 지니고 있음도 여기에 기인된다. 드로잉이 진행인만큼 순간순간이 살아숨쉰다. 완결에서오는 고식성이나 관념의 흔적이 전혀 느껴지지않는 생동감이 강하게 작용하는 것도 이 때문이다.

그가 몇 해전 전시 팜프랫에 적은 다음 언술은 그의 작품에 접근하는데 하나의 길잡이가 되기에 충분하다.

“어떤 여운과 울림에 의한 상상이 가능한 대상에 관심이 있다. 상상은 너머(beyond)에 대한 동경으로 현상(be)의 저편(yond)에 있는 어떤 것을 찾는 과정이다.” 고 했을 때, 그 찾는 과정이야말로 현재 진행형을 완곡하게 표현한 것이 아닌가 본다. 또 이 언술 속에 “여운과 울림에 의한 상상이 가능한 대상” 이라고 했는데 이 점은 직접적으로 자연과의 교감이 되겠지만 그것은 끝나지않은 진행으로서의 너머의 세계로 향한 도정을 말해준다. 여기에 그의 작품이 지닌 매력으로서 깊은 감동의 여운이 잠재된다.

다음 구절은 자연으로서의 대상이 보다 분명하게 드러난다.

“그렇지만 모든 현상이 다 나에게 의미가 있다가보다는 시각적 여운과 울림이 있는 대상이 중요하다. 특히 물, 풀, 숲 등 집합적인 군집의 성격을 띠고 있는 사물에 흥미가 있다.”

군집된 자연현상은 개별로서의 대상이 아니라 전체로서의 대상이고 동시에 전체로서의 풍경이다. 화면엔 풀과 숲이 빽빽하게 차지한다. 나무들로 뒤엉킨 숲, 풀들로 무성한 들판은 하나하나의 대상에로 접근하는 것이 아니고 언제나 전체로서 다가오는 것이다. 그것들이 살아있는 현재형이기에 그의 작품은 드로잉적인 속성을 띠지 않을 수 없다. 오토마틱한 자동기술은 실은 무위의 상태에서 붓이 가는대로 내맡긴다는 것인데 김호준의 드로잉은 단순한 오토마틱에 의존하는 것이 아니라 구체적인 현상으로서 대상을 저버리지 않는다. 그가 바라는 저너머의 그 무엇은 바로 이같은 구체적 현상을 매개로 했을 때 가능한 것이기 때문이다.

대상을 통해 확인되는 것이기도 하지만 그의 화면은 다분히 식물성이란 인상을 받는다. 단순히 숲이 있고 풀이 있다고해서가 아니라 가너린 생명체가 이루는 군집으로서의 강인함이 화면 전체에 더없이 여운이 짙은 울림을 동반하기 때문이다. 그것은 무수한 시간의 겨와 공간의 폭이 서로 직조되면서 만들어내는 독특한 탄력의 구조에서 연유한다. 이들 풀과 나무들이 화면을 뒤덮어가는 만큼 화면은 전면성의 특징을 두드러지게 드러낸다.

전면성이란 화면에 대한 치열한 인식에서 비롯되는 것이기도 하다. 그가 어떤 대상을 그리든, 어떤 매개를 떠올리든 언제나 평면에로 환원될려는 의지를 지니는 만큼 화면은 어디에도 속하지않는 그 자체로 독립된 존재로 등장하게 된다. 이는 작가가 부단히 자기작업에 대한 의문을 제기하는 성찰로서의 의식을 지닐때만이 기능한 것이기도 하다.

오광수(미술평론가)

Golden tree, 91x73cm, acrylic on canvas, 2021




Golden wildness, 91x73cm, acrylic on canvas, 2021




The sea at sunset, 162x112cm, oil on canvas, 2021




Spring, 91x73cm, acrylic on canvas, 2021




A bird sitting on tree, 91x73cm, oil on canvas, 2021




Blue quince tree, 163x130cm, oil on canvas, 2021

푸른모과나무

모과의 진한 노란색과 향기는 그 생김새에 비해 압도적이다. 입이 떨어지고 가지 끝에 매달려 있는 모과는 그 무게를 이기지 못하고 이내 툭툭 중력에 이끌려 땅으로 돌아간다. 모과 몇 개를 주워와 바구니에 담아 두니 향기가 진동한다. 이내 욕심을 내어 모과청을 만들어볼 요령으로 한가득 주워왔는데 안으로 벌레먹은 것들이 태반이었다. 과욕이 부른 사태를 자책하며 모과향은 실컷 즐겨보았다.

모과를 그리면서 모과의 노란색 열매와 어울리는 나무색이 무엇일까 생각하다 바다의 파란색이 떠올랐다. 그리고 모과의 형상이 사람의 얼굴 형상과 닮아있다는 것을 느꼈다. 웃는 얼굴, 우는 얼굴, 찡그린 얼굴 등 모과의 형태는 사람의 얼굴 만큼이나 다양했다. 푸른색의 모과나무는 어두운 밤에 외로이 서있고 가지 끝에 달려있는 노란 모과열매는 천태만상의 세상사라는 생각을 하였다.



Cherry tree, 53x45cm, acrylic on canvas, 2021


김호준(Kim Ho-Jun)

<학력>

1999 서울대학교 미술대학 서양화과 졸업

2002 서울대학교 대학원 서양화과 졸업

2008 서울대학교 대학원 미술학과 박사 수료

<전시경력>

개인전

2020 내일갤러리, 서울

2019 카페나눔갤러리, 남양주

2018 아트스페이스 퀄리아, 서울

2018 갤러리21, 서울

2017 아트스페이스 퀄리아, 서울

2016 예술의기쁨(김세중미술관), 서울

2013 세브란스 아트 스페이스, 서울

2012 스페이스 홍지, 서울

2012 한빛미디어갤러리, 서울

2012 노암갤러리, 서울

2009 정소영 갤러리, 서울

2009 교하아트센터, 파주

2008 정소영 갤러리, 서울

2005 도올갤러리, 서울

주요단체전

2021 추상의 바다(스퀘어루트 갤러리, 고성)

2021 자연의 자리 미술의 자리 (도화헌미술관, 고흥)

2021 봄의 시작, 삶의 꿈을 피우다 (스퀘어루트 갤러리, 고성)

2020 평창동이야기 (아트스페이스 퀄리아, 서울)

2020 예술과 커뮤니케이션 (피움아트밸리, 고성)

2019 평창동이야기 (아트스페이스 퀄리아, 서울)

2018 한국 세계지평을 말하다 (갤러리 피카디리, 서울)

2017 평창동이야기 (아트스페이스 퀄리아, 서울)

2017 숲이 길이 되다, 통일인재육성 장학기금 특별전 (SNU장학빌딩 전시장)

2016 데카곤, 열개의 마디 (아트스페이스 퀄리아, 서울)

2014 장애인아트페어 미디어특별전 (문화역서울 294, 서울)

2013 인천평화미술프로젝트 (인천아트플랫폼, 인천)

2012 TRI-UNITY전 (알바로시자홀, 안양문화재단)

2011 오픈스튜디오전 (김형윤편집회사, 파주)

10인의 물질적 공간전 (공평갤러리, 서울)

2010 유기적 거리 2 (정소 갤러리, 서울)

국제 디지털 무빙이미지 페스티벌(YMCA 마루 아트홀, 서울)

파주출판도시 아트플랫폼 입주작가 기획전(아시아출판문화정보센터, 파주)

2009 Meta-Data : 한국영상학회 봄 정기회원전 (구로아트밸리, 서울)

2009 강원아트페어 (원주치악예술관)

이인이각異人異覺 : 샘표스페이스 초대전 (샘표스페이스, 경기도 이천)

유아트스페이스 개관 6주년 기념전 (유아트스페이스, 서울)

예술, 출판도시와 마주치다 (갤러리 지지향, 경기도 파주)

2008 부산시립미술관 개관 10주년 기념전-Art in Busan 2008 : 돌아와요 부산항 에(부산시립미술관, 부산)

대상으로서의 시간과 공간, 우석홀 갤러리 (서울대학교, 서울)

IsAT 2008 Exhibition (한국예술종합학교 전시실, 서울)

서울대학교 미술대학 개교 62주념 기념동문전 (서울대학교 미술관, 서울)

2007 일기예보전 (서울시립미술관, 서울)

para-space전 (안단테 갤러리, 서울)

유기적 거리/Organic Distance (안단테 갤러리, 서울)

de-montage전, 한국영상학회전시 (안단테 갤러리, 서울)

입주작가경력

2006.4-2007.10 : 1기 난지미술창작스튜디오 입주 작가 (서울시립미술관)

2009 - 2010 : 파주출판단지 레지던시 입주작가

작품소장

관악경찰서, 국립현대미술관(아트뱅크), 경기도 민물고기연구소

https://n.news.naver.com/article/018/0005066279

Comments


bottom of page